전체 글18 2023 모르면 낭패 보는 자동차 교통법규 4가지 (Feat. 과태료) 2023년 새해 들어 바뀐 것이 많습니다. 부동산 완화 정책, 자동차 소비 장려 정책, 각종 지원 및 제도 등. 지난 번 포스팅에서 안건이 되었던 "개별소비세 폐지"에 대한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는 근거로 작용하는 이제는 사치품이라기보다는 필수품이 되어버린 '자동차' 산업화와 고도화로 인해 이제는 가히 1가구 2자동차 시대가 열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자차 운행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먹고 살기 바빠 자칫 숙지하지 못한다면 낭패볼 수 있는 2023 달라진 교통법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우리 구독자님들은 과태료로 애꿎은 호주머니만 가벼워지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1. 고속도로 앞지르기 과태료 부과 강화 고속도로에서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차선과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운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2023. 2. 3. 2023 반드시 알아둬야 할 자동차 관련 세금 3가지 2023년부터 변경 적용되는 자동차 관련 세제 혜택들이 많습니다. 1. 2023 개별소비세 인하조치 연장 ㅡ 모든 차량 구입 시 발생하는 개별소비세 (일명 개소세) 인하조치가 6개월 연장되었습니다. 개별소비세 30% 인하 6개월 연장 기간 : ~23년 6월까지 연장 한도 : 100만원 2. 2023 친환경차 세제혜택 개편 ㅡ 친환경차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차) 구매 시 세제혜택이 주어지고, 3인 이상의 다자녀 가구의 차량 구입 시 개별소비세 면제가 새롭게 시행됩니다. 친환경차 개별소비세 감면 2년 연장 기간 : ~24년 12월까지 연장 한도 : 하이브리드차 100만원, 전기차 300만원, 수소차 400만원 친환경차 도시철도채권 매입의무면제 조치 2년 연장 기간 : ~24년 12월까지 연장 한도 :.. 2023. 2. 2. 종합소득세 신고 10분 만에 무조건 시작하는 법 직장에서 근로소득을 받으며 간편하게 연말정산으로 한 번에 처리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그러나 직장 외 부업 또는 임대 사업 등으로 소득이 있으신 분, 프리랜서 또는 아르바이트를 하며 원천징수 이후 금액을 받고 계신 분, 개인사업자로 일정 이상 소득을 내고 계신 분 등, 쉽게 말하자면 이 3가지에 해당되신다면 5월에 반드시 종합소득신고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1. 종합소득세란? 1년 동안 사업 활동을 하면서 개인이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자진하여 신고하고 납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 간 위의 여섯 가지를 '종합'한 금액에 대해 다음 년도 5월에 소득세 신고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퇴직소득과 양도소득은.. 2023. 2. 1. 나만 몰랐던 국민연금 많이 받는 방법 3가지 국민연금이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입니다. 국민 개개인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일정 이상 나이가 들거나, 예기치 못한 사고 또는 질병으로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제도입니다.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은 소득 활동이 있는 국내 거주 성인이라면 의무 가입으로써 4대 보험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중 건강 보험과 함께 가장 자주 듣게 되는 단어일 것입니다. 취지가 좋았던 만큼 국민연금은 국가가 국민들의 노후생활 보장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로 적게 내고 오랫동안 타 쓰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도 선진국 대열로 들어서면서 저출산, 고령화 문제와 저성장, 저금리 구조로 인한 연.. 2023. 1. 31. 이전 1 2 3 4 5 다음